본문 바로가기

맛있는부산

추억의 야채찜닭에 당면사리 넣고 밥까지 비벼 싹, 남포동 멕코이치킨 남포동 멕코이치킨. 정확한 지역은 부평동. 지하철 자갈치역에서 부평시장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만날 수 있다. 야채찜닭 하나에 사리하나 추가. 당면사리는 주문 시 추가해야한다. 채 썬 양배추에 캐첩과 마요네즈. 산미에 절로 침이 고인다. 절임무. 주문한 야채찜닭. 당면사리가 들어가 있다. 당감동 복돌네 닭두루치기와 비슷한 비주얼. 김이 모락모락 올라와 사진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좀 잦아들길 기다렸다가 한 컷. 양념이 스며든 쫀쫀한 당면 한 포크. 비록 닭은 아직 안 먹었지만, 매콤한 양념과 쫀득한 당면 식감에 이 집 야채찜닭의 맛이 느껴진다. 매콤한 양념이 발린 탄력 좋은 닭다리살. 개인적으로 닭의 살 중에는 다릿살과 가슴살에 한표를 주고싶다. 타박타박한 감자와 고기하나 더 건져먹고. 공깃밥도 하나 주.. 더보기
소설같은 이름의 옛날 돈까스집, 연산동 달과6펜스 연산동 물만골역 인근에 위치한 돈까스 전문점. 20년이 훌쩍 넘은 집이다. 부산역 인근에도 동일한 상호의 집이 있는데, 그 집이 본점으로 알고 있다. 사실 달과 6펜스는 유명한 소설의 제목이다. 유명한 화가 폴 고갱의 일생을 담은 작품. 소설의 제목 덕분에 더욱 친숙하게 느껴진다. 포크, 스푼, 나이프. 우리나라 경양식집의 상징. 일반돈까스와 치즈돈까스 하나씩 주문. 돈까스와는 어울리지 않지만, 느끼할 때 하나씩 먹기 좋다. 먼저 따뜻한 스프를 내어준다. 식전 스프를 내어주는지 내어주지 않는지에 민감한 경양식 돈까스 마니아도 주변에 있다. 크림스프에 당근도 잘게 썰어 넣었다. 후추를 솔솔솔 푸려준다. 후추가 들어가면 맛없는 음식이 없다는 말도 있지만, 몸에 좋다는 이야기도 있다. 본 메뉴인 돈까스가 나올.. 더보기
뜨끈한 감자탕 국물에 소주한잔, 연산동 소문난 서울감자탕 연산동 소문난 서울감자탕. 연산역에서 한창정보타운으로 넘어가는 골목에 위치한 감자탕집. 제법 오래된 집이다. 감자탕 작은걸로 하나 주문하고, 좋은데이 한 병 주문. 감자탕은 항상 푸짐하다. 수북하게 쌓인 채소와 뼈의 공이 상당히 큰 듯. 보글보글 끓으며 채소의 숨이 죽으면 양이 줄어든다. 큼직한 등뼈 한두개 건져내면 양은 더 줄어들고... 감자탕은 마진률이 매우매우 좋다고 들었다. 돼지 등뼈 얼마 안한다고... 동행이 먹고 싶다고 해서 간 곳인데, 먹다가 남기고 나왔다. 감자탕에서 꼬불꼬불한 털이 나왔다고... 외식이 잦다보니 이런 경우가 종종 있다. 밥에서 파란수세미가 나온적도 있고, 돼지국밥에 들어 있는 돼지 내장이 덜 씻겨 나온적도 있고, 밀면에 날파리가 빠져있었던 적도 있고. 그러려니 한다. 더보기
포항회관에 뒤지지 않는 물횟집, 연산동 청솔물회 연산동에는 포항회관이라는 유명한 물횟집이 있다. 물이 없는 물회스타일인데, 자리에 앉을 때 까지 기다리는데 30분, 주문을 하고 음식이 나오는데까지 30분 이상이 걸리는 집이다. 이 집도 점심시간에 미리 주문하고 가지 않으면 오랫동안 기다려야 하는 집이다. 두 명이서 물회 두 그릇 주문. 앞에 언급한 포항회관은 물회가 손님에게 나가기 전에 주인 할머니가 직접 양념장을 올려서 내어준다고 한다. 아무리 바빠도 그렇게 한다고 하는데, 그래서 음식이 더 늦는거라는 소문도 있다. 음식이 나오길 기다리는 동안 주변산책. 생긴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집이지만, 장사가 잘 되어 옆으로 확장했다. 수족관에는 성대가 가득. 울진 후포리에서 생선을 받아 오는데, 어획된 종에 따라 물회 구성도 달라진다고 한다. 쌈용 상추와 깻.. 더보기
진짜 가야밀면의 맛을 이어가는, 초읍 삼성밀면 (생활의 달인 671회) 무더운 여름을 시원하게 날려줄 밀면. 부산에서는 밀면집을 흔하게 볼 수 있는데, 부산사람들의 소울푸드라고 할 수 있다. 제법 오래된 집으로 알고 있는데 의외로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얼마 전에 생활의 달인 프로에 소개되었기에 많이 붐비지 않을까 싶다. 다른지역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부산에는 왠만큼 오래된 음식점들은 생활의달인이나 삼대천왕에 소개된 것 같다. 삼성밀면 사장님이 가야밀면을 창업하신 분의 친동생인데, 초창기 같이 밀면을 만들다가 삼성밀면을 오픈했다는 이야기는 사전에 알고 갔다. 밀면집 중에 가야밀면이라는 간판을 걸고 있는 집들이 제일 많은데, 실제 가야동에 있던 가야밀면과 관련있는 집은 몇 없는 것 같다. (동의대 밑에 있던 가야밀면 본점은 안타깝게도 폐점했다.) 물밀면 두 그릇을 주문하고,.. 더보기
입안을 꽉 채우는 후토마끼와 숙성사시미, 광안리 덴다이닝(DEN) 광안리에서 갈만한 이자카야를 찾아서. 옛 무비오빠가 있던 자리에 스트릿27이라는 펍이 생겼다. 그 위에는 바로 덴다이닝. 작년 가을즈음 방문했을 때는 만석이라 발길을 돌려야 했던 이자카야. 덴 숙성사시미와 후토마키를 주문했다. 이어지는 금주에 술은 패스. 동행은 시원한 생맥 한 잔. 계산할 때 알게 된 사실이지만, 생맥주는 오키나와 생맥주더라. 맛은 안봐서 어떤 맛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동행은 일반 생맥주인줄 알았다던... 구운식빵과 마요네즈에 시치미를 뿌려서 나온다. 그 옆에는 소주안주로 딱 좋은 꼬시래기. 과메기와 함께 겨울철에 먹던 꼬시래기지만, 냉동시켜뒀다가 해동 해 먹어도 식감이나 맛이 차이가 없어 계절에 상관없이 사용하나보다. 덴 숙성사시미 28,000원. 둘이서 술한잔 기울이며 먹기에 나쁘지.. 더보기
면발이 탱글탱글한 일본식 사누끼우동 전문점, 남포동 카마타케제면소 섬나라 일본을 이루는 4개의 큰 섬 중에 하나 시코쿠(四国) 북쪽에 카가와현(香川県)이 자리잡고 있다. 카가와현은 일본에서도 우동으로 유명한 지역. 현의 우동집만 900개가 넘는다고 한다. 일본을 대표하는 우동 중에 면발의 탄력을 중요시하는 스타일을 사누끼우동이라고 한다. 큼직한 유부를 올린 국물 우동인 키츠네우동과 함께 일본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우동이다. 사누끼는 카가와현의 옛지명이다. 부산에 진짜 사누끼우동집이 생겼다고 했을 때 다녀 온 남포동 카마타케제면소. 사진의 비주얼처럼 국물이 없다. 탱글탱글하게 삶아진 면발 위로 큼직한 어묵튀김 하나와 계란튀김이 올라간 치쿠텐 붓카케우동을 주문했다. 면발에 간장을 뿌려 비벼먹는 방식이라 붓카케우동이라고 부른다. 계란튀김을 반으로 가르면 노른자가 흘러내린다. 반.. 더보기
한상 푸짐하게 차려지는 상하이식 핫팟 전문점, 서면 명성훠궈(明成火鍋) 서면 배대포골목에 자리잡고 있는 명성훠궈. 상하이식 핫팟 전문점이다. 붉은 조명이 맵다는 느낌도 주고, 중국스러운 느낌도 준다. 명성훠궈(明成火鍋) 심볼. 최근 훠궈나 마라탕이 유행하고 있다. 훠궈는 중국식 샤브샤브라고 생각하면 된다. 냄비의 모양에 따라 분류가 다양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홍탕과 백탕으로 구분된 원앙스타일이 흔하다. 시간적인 여유가 있던 어느날. 4시부터 스타트. 전국적으로 양꼬치가 유행하면서 중국술도 같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양꼬치엔칭따오라... 중국음식 중 양꼬치 다음 유행은 마라롱샤, 그리고 훠궈와 마라탕이 아닐까. 4명이라 황제훠궈로 주문했다. 홍탕과 백탕에 담궈 먹을 수 있는 20여가지 재료에 즈마장 4개가 포함되어 있다. 함께 자리한 분께서 권해주는 술은 연칭과 공빈. 연태고량.. 더보기